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장관계의 해부생리에 대하여

by molang-molly 2024. 3. 17.

1. 위장관계 해부생리

 위장관의 주요 기능은 수분, 전해질, 영양소를 신체에 공급하는 데에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음식물을 소화고간으로 이동 시키고 동시에 위장관 벽의 세포에 쉽게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음식을 분해하기 위해 소화 효소를 분비합니다. 식도(esophagus)는 긴 근육관으로 추진적, 동시적 연동 운동에 의해 음식물을 구강(posterio mouth)으로부터 하식도 괄약근을 통과하여 위장으로 이동 시킵니다. 위장(stomach)은 J모양의 구조로 생겼으며, 식도와 십이지장 사이에 위치한다. 위장 안에 음식이 저장되고, 근위분(proximal) 위장 벽에 위치한 벽세포(parietal cell)와 주세표(chief cell)는 각각 염산과 펩시노겐(pepsinogen)을 분비합니다. 위에서 간과 효소와 음식물이 섞이면서 소화 과정이 시박됩니다. 벽세포는 비타민B12의 흡수에 없어서는 안되는  내인자(instrinsic factor)를 분비합니다.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미즙, chyme)은 유문괄약근(pyloric sphincter)을 통과하여 십이지장으로 갑니다. 십이지장은 췌장(pancreas)과 담도(bile duct)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췌장은 단백분해 효소(trypsin), 지방 분해 효소(lipase), 전분 분해 효소(anylatic enzyme : amylase)를 분비합니다. 모든 소화 효소는 알칼리 환경에서 가장 잘 작용하므로 췌장은 기본적 pH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물과 중찬산염(bicarbonate)을 분비합니다. 담도게는 담즙산염(bile salt),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인지질과 함께 물과 중탄산염을 분비합니다. 담즙산염은 지방산과 혼합되어 신속하게 지방을 흡수합니다.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인지질은 거의 소화기능을 지니지 않으며 단지 배출물(extract)일 뿐입니다.

 

 유미즙(chyme)이 소장(공장, 회장)을 통과하며 영양소로 소화되어 흡수된다. 마지막으로 물과 전해질(Na, K, Cl, HCO3)은 대장에서 흡수됩니다. 반면 소화되지 않은 물질(대변)은 직장(rectum)으로 이동합니다. 직장은 위장관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 둥근 부위(vault)로서 배변까지 대변을 저장하는 곳입니다.

 

 전체 위장관계는 신경호르몬 피드백 기전에 의해 조절됩니다. 위장의 원위부 점막에서 분비되는 가스트린(gastrin)은 미주신경과 함께 염산 분비와 위장과 소장의 추진력 있는 근육 운동을 자극합니다. 십이지장에 산성 음식물이 도달하면 십이지장 점막의 chlecystokinin과 secretin 분비가 자극됩니다. 다시 이들은 담도와 췌장의 소화효소 분비를 각각 자극한다. 소화가 완료된 후 secreti, 소화점막에서 만들어지는 enterokinase와 가스트린 방출을 억제합니다. 이렇게 소화과정을 느리게 하요 식간 활동이 이루어지게 합니다.

 

 이러한 위장관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검사는 여러 종료가 있습니다. 영상의학적 검사로는 바륨을 먹거나 관장을 시행한 후 X-ray를 촬영하는 방법, CT촬영 및 핵의학 검사, 그리고 위장관 혈관 조영 검사 등이 있으며, 내시경 검사로는 위장 & 십이지장 내시경, 소장의 전체 부분을 통과하는 캡슐내시경, 대장내시경, 직장내시경 등이 있고, 그 외에 혈액 검사, 식도 기능 검사, 위액 분석, 내시경을 시행하면서 같이 하는 위장관계 세포 조직 검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 등 다양한 검사들이 있습니다. 그 중 우리의 일생 생활과 가장 밀접한 내시경으로 2년마다 한 번 씩 나오는 국가 검진에 위장 내시경은 반드시 포함됩니다. 내시경은 내시경 관을 통해 직접적으로 위장 내부를 살펴볼 수 있어 가지석인 병변을 확인하기 좋기에 주기적으로 시행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에 혈액 검사로는 위암 의심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대장 내시경을 시행하기에 앞서 분별 잠혈 검사를 통해 대변에 혈액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대장의 건강 상태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룰 포스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의 검사들을 하나씩 다루어보며, 해당 검사의 방법, 준비사항, 중재 및 후처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